씨메스, K-휴머노이드 연합 신규 참여기업 선정

전 세계가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에 주목하는 가운데, 대한민국 역시 기술 자립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에 도달했습니다. 이에 발맞춰 정부는 ‘K-휴머노이드 연합’을 출범시켰습니다. 본 글에서는 해당 연합의 수요기업으로 참여한 씨메스의 역량과 함께, K-휴머노이드 연합의 향후 추진 방향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CMES AI ROBOTICS's avatar
Aug 05, 2025
씨메스, K-휴머노이드 연합 신규 참여기업 선정

K-휴머노이드 연합 : 한국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의 새 출발

대한민국이 미래 로봇 산업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디뎠습니다.
바로 ‘K-휴머노이드 연합’의 출범인데요.

25년 4월, 산업통상자원부 주도로 발족한 이번 연합은 국내 50여 개의 로봇, AI 반도체, 배터리 기업과 연구 기관, 대학 등이 참여해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목표는 매우 명확합니다.

2030년까지 세계 수준의 한국형 휴머노이드를 상용화하고, 이를 산업과 일상에 실질적으로 접목하는 것입니다.

K-휴머노이드 연합 추진 체계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 왜 지금, 왜 '휴머노이드'인가?

  • 글로벌 패권 경쟁 대응

  • 산·학·연 협력의 개방형 혁신 모델

  • 새로운 미래 플랫폼 산업 도약

최근 몇 년 사이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전세계적인 관심과 투자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이 이 분야에서 빠르게 앞서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도 기술적 자립을 위해 적극적 대응이 필요해졌습니다.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은 단순히 사람을 닮은 기계가 아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플랫폼 기술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로봇 뿐 아니라, AI, 반도체, 배터리 등 다양한 분야가 결합된 개방형 기술 협력 생태계로 설계되었습니다.


🧩 K 휴머노이드 연합 - 핵심 역할과 추진 과제

K-휴머노이드 연합은 크게 네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움직입니다.

1️⃣ 로봇 AI 공용 모델 개발

서울대·KAIST·연세대 등 연구기관이 참여해 2028년까지 로봇의 ‘두뇌’ 역할을 하는 VLA 기반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합니다.

2️⃣ 로봇 하드웨어 개발

2028년까지 하중 20kg 이상, 무게 60kg 이하, 50관절 이상, 최대 시속 2.5m의 휴머노이드를 목표로 기술 내재화와 상용화에 나섭니다.

3️⃣ AI 반도체·배터리·액추에이터 기술 연구 개발

SK온,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국내 주요 배터리 기업과 딥엑스, 리벨리온 등 반도체 참여사를 중심으로 로봇의 핵심 부품을 국산화합니다.

4️⃣ 인재 양성 및 생태계 구축

20개 주요 대학 학생들에게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로봇 실험 센터와 투자를 위한 펀드를 마련해 지속 가능한 로봇 산업 생태계를 만듭니다.


씨메스(CMES), '수요기업'으로 함께 참여합니다

지능형 로봇 자동화 기업 씨메스(CMES)는 이번 K-휴머노이드 연합에 수요기업으로 선정됐습니다.

여기서 수요기업이란, 단순히 로봇을 구매하는 기업이 아니라, 휴머노이드 로봇을 실제 현장에서 활용하고 서비스 모델까지 개발하는 기업을 말합니다.

씨메스는 그동안 제조와 물류 현장에서 AI 비전기술과 로봇 제어 기술을 성공적으로 활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 연합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실제 현장 적용과 실증에 중심적인 역할을 맡게 됐습니다.


씨메스가 가진 특별한 강점은?

씨메스는 이미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로봇 솔루션을 구축해 왔습니다.

  • 복잡한 산업 환경에서 로봇이 사람처럼 “인지 ▶️ 판단 ▶️ 행동”이 가능한 AI 비전 기반 로봇 기술 보유

  • 복잡한 제조·물류 환경에서도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자동화한 검증된 실증 사례

  • 센서, 3D 비전, 제어 기술을 결합해 사람과 협업 가능한 유연한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

👉 물류 자동화 Case Study #01 - 포대 디팔레타이징 고객 사례

👉 물류 자동화 Case Study #02 - 피스피킹 고객 사례

씨메스는 이번 연합 활동을 통해 위와 같은 강점을 발휘하고, 산업 현장과 연구 개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씨메스와 K-휴머노이드 연합의 향후 방향성

씨메스는 앞으로 이러한 방향으로 휴머노이드 기술을 현장에 도입할 예정입니다.

  • 휴머노이드 로봇을 이용한 제조 및 물류 산업 공정 자동화

  • 인간과 휴머노이드 로봇의 협업 시스템 구축

  • 연합이 개발한 AI와 핵심 부품 기술을 씨메스의 자동화 솔루션과 결합한 실증 모델 구축

  •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을 글로벌 시장에 알리는 역할 수행


씨메스가 만드는 지능형 로봇 자동화의 미래

기술은 현장에서 실현될 때 진짜 가치를 얻습니다.

K-휴머노이드 연합은 연구 개발을 넘어서, 우리 삶과 산업 현장에서 작동하는 로봇 생태계를 만드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합과 씨메스가 함께 만드는 새로운 로봇 시대 !

씨메스는 연합의 수요 기업으로서, 기술을 현장에 연결하며, 실제 산업에서 체감할 수 있는 로봇 혁신을 만들어 갈 것입니다.

👉씨메스가 그리는 지능형 로봇 자동화의 미래가 궁금하시다면, 다양한 자동화 솔루션을 바로 확인해 보세요.

Share article

CMES Inc.